습도 기준
습도는 대기 중에서 측정하는 지표로, 현재 수증기량이 얼마나 들어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습도입니다.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습도는 상대습도를 짧게 줄여서 ‘습도’라고 표기합니다.
상대습도가 40%에서 60% 사이로 유지되면 실내적으로 쾌적하게 느껴집니다. 습도가 40% 이하로 낮아지면 눈과 목 등의 점막이 건조해지면서 호흡기 질환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반대로 습도가 너무 높아지면 곰팡이나 진드기, 세균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곰팡이성, 세균성 질환에 취약해 집니다. 따라서 실내 환경을 편안하게 유지하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 습도를 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습도를 낮추는 법
환기 : 실내 환기를 통해 공기를 교환하고 습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. 창문과 문을 열어 통풍을 유지하세요. 특히 비나 눈이 오는 날, 습도가 높은 날에는 환기를 자제해야 합니다.
제습기와 에어컨 : 제습기나 에어컨을 활용하여 습도를 조절하세요. 이들은 실내 습도를 효과적으로 낮추는데 도움이 됩니다.
신문지 활용 : 신문지를 빨래 건조대 아래에 깔거나 신발장 안에 놓아 습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.
숯 사용 : 숯을 두어 습도를 흡수하고 냄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.
서큘레이터 : 공기 순환을 도와 습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.

적정습도
실내 적정습도는 40%에서 60% 사이가 적정 습도입니다. 다양한 온도에 따라 적정 습도 범위가 달라집니다. 예를 들어, 15℃에서는 70%, 18℃~20℃에서는 60%, 21℃~23℃에서는 50%, 24℃ 이상인 여름철에는 40%가 적당하다고 합니다. 이러한 조건을 유지하면 건강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